전체 글 476

강조의 조동사 do

My teacher thinks that I didn't study for my test, but I did study. (내 선생님은 내가 시험을 위해 공부를 안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정말로 나는 공부를 했다.) 동사의 의미를 강조하고 싶을 때는 강조의 조동사 do를 동사 앞에 두어 그 동사의 의미를 강조한다. 이 때 do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또한 강조의 조동사는 화자가 생각할 때 청자가 어떤 과정에 대해 확신을 갖고 있지 못할 때 사용된다. do가 조동사일 경우 의문이나 부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지만, 뒤에 오는 동사의 의미를 강조하는데 사용되는 수도 있다. (정말로,꼭)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Do play the piano.(제발 피아노를 연주해 주세요) do가 앞에 나온 동사를 대신할 때가..

영어 2007.11.04

will be able to + V의 용법(예측과 능력을 나타냄)

Someday scientists will be able to find a cure for cancer. (언젠가는 과학자들은 암을 치료하는 약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wil은 미래를 나타내는 조동사이며 be able to는 "to 이하를 할 수 있다" 라는 동사구 이다. 이 be able to 는 조동사 can과 같은 뜻이다. 조동사 뒤에는 원형동사가 와야하므로 can을 대신해서 be able to 라는 동사구가 사용 된다. be able to 의 주어는 사람이어야 한다.

영어 2007.11.04

동사원형

[영문법연재-4] 동사원형이 도대체 무엇일까요? ━ 동사원형이 도대체 무엇일까요? 조동사 다음에 동사원형이 옵니다. 또한 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시작합니다. 심지어 지각동사와 사역동사의 목적격보어로 동사원형을 씁니다. 이밖에도 동사원형이 쓰이는 상황은 의외로 많습니다. 그럼 조동사 다음에 동사원형이 왜 올까요? 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왜 시작할까요? 지각동사와 사역동사의 목적격보어로 동사원형을 왜 쓸까요? 동사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동사원형이 도대체 무엇일까요? 너무 궁금하여 도저히 참을 수 없습니다.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기억 속에 있는 전설(?)같은 문장입니다. 【예문1】I am a boy-1697. [예 문1]의 be 동사 'am'을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am'과 함께 'are/is'를..

영어 2007.11.04

진주어 와 가주어

진주어와 가주어는 진주어의 머리가 너무너무너무 크기때문에 가주어 It언니를 써서 머리를 대타하는 것 이라고알아두시면 됩니다 ㅎ 자그럼 이제 가주어를 어떻게 해서 바꿀까요? 그럴때! 바로 우리들에게 너무 친숙하신 It님께서 오는거죵 It은 그것으로 해석도 되지만 비인칭주어로 가주어의 역할도 맡고있습네다 'ㅅ' 그런데~ It이 어떻게 진주어와 바껴질까요? 일단 예문을 보도록 합시다(예문내용 학교교과서 ㄳㅋㅋㅋ

영어 2007.11.04

부사

1. 부사의 정의 Adverb ▶ Add + verb → 성격: 동사에 더하고 보태는 역할 2. 부사의 위치 ① 부사는 be동사 뒤에 온다. ② 부사는 일반동사 앞에 온다. ◎ 부사의 종류⑴ 부사는 형용사에 [ly]를 붙여서 만듭니다. ▶부사의 대부분의 단어는 형용사에서 건너옴 ① ② ③ ④ ⑤ [명사] [동사] [명사]/[전치사] [명사]↑ ↑ ↑ 형용사 부사 명사를 도와줌 동사에 더해줌 kind beautifulwarm kindlybeautifullywarmly ◎ 정리해봅시다. ⑴ 가장 이상적인 단어 배열은? [명사] [동사] [명사] / [전치사] [명사] ⑵ 부사와 [~ly] 와의 관계는? ▶ 부사는 형용사에서 건너옴 → 형용사와의 사운드 구별을 위해 ly를 뒤에 붙이게 됨 (대부분 한국말의 “..

영어 2007.11.04

전치사

전치사 [前置詞, preposition] 요약 명사 ·대명사(또는 그에 준하는 말) 앞에 놓여 명사 ·대명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품사. 본문 영어의 in, on, of, behind, about 등이다. 그 자체로는 단독으로 뜻을 가질 수 없는 통어론상(統語論上)의 기능어이다. 전치사의 대부분은 부사에서 파생한 것이 많고, 불변화사(particle)로서 함께 묶어지는 수도 있다. 그 성립경과는 원래 동사를 수식한 부사가 후속되는 명사 ·대명사에 밀착하여 일정한 격(格)을 지배하게 된 것이다. 그것은 예를 들면 현대의 독일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영어처럼 옛 격변화(格變化)를 거의 상실해 버린 언어에 있어서는 어순과 전치사가 그 결점을 보완하는 결과로 되어 있다. 한국어를 비롯한 알타이제어의 문법에서..

영어 2007.11.04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關係代名詞, relative pronoun] 요약 선행하는 어구를 받아 종속절을 연결시키는 대명사. 본문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에서 ‘who’가 바로 앞의 단어 ‘those’를 대표함과 아울러, 뒤따르는 종속절의 주어 구실을 하는 따위이다. 영어의 who ·what ·which ·that 등이 이에 속한다. 유럽의 여러 언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관계대명사는 지시대명사 ·의문대명사에서 발달한 경우가 많다. 또한 종속절을 연결하는 기능을 지닌 부사를 관계부사라 하고, 이를 관계대명사와 함께 관계사(關係詞)라고 한다. 한국어 ·일본어 ·만주어 ·몽골어 등 알타이어계에 속하는 언어들에는 관계대명사가 없다.

영어 2007.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