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Algorithm

백준 아기 상어 파이썬

모지사바하 2021. 3. 30. 10:37

www.acmicpc.net/problem/16236

 

16236번: 아기 상어

N×N 크기의 공간에 물고기 M마리와 아기 상어 1마리가 있다. 공간은 1×1 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 칸에는 물고기가 최대 1마리 존재한다. 아기 상어와 물고기는 모두 크기를 가

www.acmicpc.net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sys.setrecursionlimit(10000)

if __name__ == '__main__':
    n = int(sys.stdin.readline().rstrip())
    sea = []
    eatable = False
    baby_shark = 9
    shark_size = 2
    shark_pos = []
    for i in range(n):
        nums = list(map(int, sys.stdin.readline().rstrip().split()))
        if baby_shark in nums:
            shark_pos.append(i)
            shark_pos.append(nums.index(baby_shark))

        sea.append(nums)


    def eatable(v, h, shark_size):
        q = deque([(v, h)])
        visited = [[0] * n for _ in range(n)]
        direction = [(1, 0), (-1, 0), (0, 1), (0, -1)]
        eatable_fish = []
        while q:
            v, h = q.popleft()
            for d in direction:
                nv, nh = v + d[0], h + d[1]
                if nv < 0 or nv >= n or nh < 0 or nh >= n:
                    continue
                if sea[nv][nh] > shark_size:
                    continue
                if (sea[nv][nh] == 0 or sea[nv][nh] == shark_size) and not visited[nv][nh]:
                    visited[nv][nh] = visited[v][h] + 1
                    q.append((nv, nh))
                if sea[nv][nh] < shark_size and sea[nv][nh] > 0  and not visited[nv][nh]:
                    visited[nv][nh] = visited[v][h] + 1
                    if sea[nv][nh] < 7:
                        eatable_fish.append((visited[nv][nh], nv, nh))
                    else:
                        q.append((nv, nh))

        return eatable_fish


    def bfs(s):
        fishes = eatable(shark_pos[0], shark_pos[1], s)
        fishes.sort()
        eatable_fish_q = deque(fishes)

        move_cnt = 0
        eat_cnt = 0

        while eatable_fish_q:
            dist, v, h = eatable_fish_q.popleft()
            move_cnt += dist

            sea[v][h] = 0
            sea[shark_pos[0]][shark_pos[1]] = 0
            shark_pos[0] = v
            shark_pos[1] = h
            sea[shark_pos[0]][shark_pos[1]] = 9
            eat_cnt += 1
            if eat_cnt == s:
                s += 1
                eat_cnt = 0

            n_fishes = eatable(shark_pos[0], shark_pos[1], s)
            if n_fishes:
                n_fishes.sort()
                eatable_fish_q = deque(n_fishes)

        return move_cnt


    print(bfs(shark_size))

# 더 이상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공간에 없다면 아기 상어는 엄마 상어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1마리라면, 그 물고기를 먹으러 간다.
#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1마리보다 많다면, 거리가 가장 가까운 물고기를 먹으러 간다.
# 거리는 아기 상어가 있는 칸에서 물고기가 있는 칸으로 이동할 때, 지나야하는 칸의 개수의 최솟값이다.
# 거리가 가까운 물고기가 많다면, 가장 위에 있는 물고기, 그러한 물고기가 여러마리라면, 가장 왼쪽에 있는 물고기를 먹는다.

# 6
# 5 4 3 2 3 4
# 4 3 2 3 4 5
# 3 2 9 5 6 6
# 2 1 2 3 4 5
# 3 2 1 6 5 4
# 6 6 6 6 6 6

 

골드IV 문제답게 어려웠다. 처음 문제를 봤을땐 '헐.. 이거 어케 품??' 라고 생각하고 잠깐 다른거 했는데 문제가 머릿속에서 맴돌면서

왠지 풀 수 있을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고 아무것도 참고하지 않고 풀어냈다. 좀 헤매긴 했지만 어쨌든.. 예전같으면 엄두도 못냈을 문제같은데 풀어냈다는게 기쁘다.

다 풀고나서 다른분들 풀이를 봤는데 내가 푼것과 핵심아이디어는 거의 다 비슷했다. 다만 코드의 깔끔함이 차이랄까.. ㅠㅠ

이 문제의 핵심아이디어는 

우선 상어가 먹이를 먹으러 가야하는데, 가기전에 상어가 먹을 수 있는 고기가 있는지를 bfs 를 통해 구한다.

이 문제는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는게 매우 중요한데 제약이 많기 때문이다.

먹을 수 있는 물고기의 제약은 다음과 같다.

1. 아기상어보다 작은 크기의 물고기만 먹을 수 있다.

2.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여러마리라면 가장 가까이 있는 물고기를 먹는다.

3. 가장 가까운 물고기가 여러마리라면 가장 위쪽에 있는 물고기를 먹는다.

4. 가장 가까우면서 위쪽에 있는 물고기가 여러마리라면 가장 왼쪽에 있는 물고기를 먹는다.

즉,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1마리라면 그냥 먹으러 가면 되지만 여러마리라면 그 중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고기를 먹고

가장 가까운 고기가 여러마리라면 가장 위쪽에 있는 고기를, 가장 위쪽에 있는 고기도 여러마리라면 가장 왼쪽에 있는 고기를 가장 먼저 먹어야한다는 것이다.

근데 이 제약을 가만히 생각해보면 먹을 수 있는 물고기의 거리가 동일하다고 가정할때

가장 위쪽, 가장 왼쪽을 먼저 먹어야한다고 했는데 이는 배열에서 가장 빠른쪽 즉 graph[0][0] 에 인접한 순으로 먹으라는 이야기다.

나는 먹을수 있는 물고기를 bfs 를 통해 찾은 후 Tuple 에 (먹이까지의 거리, 행 좌표, 열 좌표) 를 저장한 후, 리스트에 담았다.

먹을 수 있는 물고기를 찾았다면 이제 상어가 먹으러 가야하는데 먹으러 갈때 거리순, 좌표상 시작에 가까운 순으로 먹어야하기 때문에 먹을수 있는 물고기들을 정렬만 해주면 위 제약조건을 준수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먹을 수 있는 물고기는 Tuple에 (거리, 행, 열) 이 담겨 있기 때문에 정렬을 하는 순간 제약조건에 맞게끔 차례대로 정렬되기 때문이다.

정렬을 해서 조건을 갖췄다면 이제야 비로소 아기상어가 먹으러 가면되는데 여기서 또 두가지의 제약사항이 있다.

1. 아기상어는 자신의 크기와 동일한 마리수의 물고기를 먹으면 크기가 1씩 커진다. 예를들어 아기상어의 크기가 2 일때 물고기를 2마리 먹으면 아기상어의 크기는 1이 커져서 3이 된다.

2. 아기상어는 비어있는 공간 또는 자신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물고기가 있는 공간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1번의 제약으로 인해 물고기를 한머리 먹고 나면 아기상어의 크기가 커질 수 있고 아기상어의 크기가 커지면 이동가능한 경로와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바뀔수 있기 때문에[1]

아기상어가 먹은 물고기의 마릿수를 기록해주고 아기상어의 크기와 동일한 마릿수의 물고기를 먹었다면 크기를 1증가 시켜준다.

한마리를 먹을 때마다 [1]과 같은 이유로 먹을 수 있는 물고기와 이동가능한 경로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먹을 수 있는 물고기를 다시 구해야한다.

마지막으로 한가지 중요한 점이 있는데 아기상어가 이동하거나 물고기를 먹으면 그자리는 빈공간이 되며 이동가능한 공간이 된다.

 

처음엔 상어의 위치, 물고기를 먹은후 빈공간으로 처리하는 부분을 방문처리하듯이 했는데 예제는 다 정확히 나오는데 제출하면 자꾸 틀렸다고 해서 그래프 자체를 빈공간으로 바꿨더니 정답이 나왔다.,, 이 부분은 왜 그런지 아직도 정확히 잘 모르겠다.